728x90

자음에 관하여,

 

 

What is a consonant?

- 4가지의 고려성 필요

1. 문자에 관해 자음을 고려

2. 조음기관에 의해 형성되는 자음을 고려

3. 음절 구조에서 특정 역할에 관한 자음을 고려

4. 음향(청각), 실질적(physical) 자질에 관한 자음을 고려

 

Vowels VS Consonants

 

- 생성에 있어서 모음과 자음은 상당히 다름

- 자음은 혀나 입술의 위치 변화에 의해서만 만들어지지 않음

- 자음은 후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vocal tract constrictions성도 수축에 의해서 형성됨

==> 여러 조음기관들이 서로 합쳐져 만들어 지는 것

- 자음은 구강이나 비강을 통과하는 기류를 바꾸기 위한 2개의 조음기관이 합쳐져 생성됨

- 혀는 자음 생성에 있어 중요한 조음기관으로 종종 자음을 만들기 위해 다른 조음기관들에 접촉하기도 하지만, 관련하지 않는 자음들도 있음 /h/, /b/, /f/

- 자음과 모음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자음과 모음이 생성되는 동안 sound source(=sound generator)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와 관련하여 알 수 있음

- 든 모음의 sound sourcevocal cords (성대)level에 있음

- 즉, 모든 모음은 성대가 떨리는 voiced (유성)(후두로부터 나오는 기류는 성대의 진동을 가지는 유성음으로, 모음임.)

- 입술과 혀 위치의 변화는 모음에 특정한 자질을 주면서 vocal tract (성도)의 공명성을 바꿈 (, 모음은 공명성을 가지고 있음)

- 물론, 자음도 마찬가지로 vocal tract (성도) 전체에서 공명으로 만들어지는 공명성을 가진 자음이 있음.

- 이를 resonants consonants (resonants = 공명)라고 하며, nasals, liquids, glides가 그러한 것들이며, 이것들은 모두 유성임

 

- 그러나 몇몇 자음들의 sound source는 후두가 아님

= 구강의 수축되는 지점에서 만들어지는 noisesound source

- 기류가 supralaryngeal system (상후두체계)로 가면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것임

- 이를 nonresonant consonants 또는 obstruents (기류가 조음과정 동안 막힘)이라고 하며, 이들은 순수자음으로 공명성(울림)이 없음

e.g., stop, fricative, affricates consonants

 

- obstruents (장애음)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resonance (공명)vocal tract 전체에서 일어나지 않음

- /s, f, t, k/같은 voiceless obstruent sounds (무성장애음)sound source는 오직 vocal tract의 수축임

- /z, v, d, g/같은 voiced obstruent sounds유성장애음의 sound sourcevocal tract의 수축과, vocal cords성대의 진동 2개임

- 모음과 자음은 음향적으로도 확연히 다르며, 모음은 일반적으로 자음보다 duration (발음지속길이)가 길고 모음은 개개 음절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 모음과 자음 음소의 실제 길이는 다음과 관련하여 다양함

1. 음소가 강세받는 음절에 있는가

2. phonemic context

3. 음소를 포함하고 있는 발화에서 단어의 의미의 중요성

 

- intensity강도와 관련하여서는 모음이 자음보다 더 큼

- 즉, 자음과 비교하였을 때, vocal tract의 공명도와 관련하여 음향 에너지가 모음이 더 크기 때문에 자음보다 더 크게 인지 됨

 

- frequency specifacation (주파수 특성)에 관하여서도 모음과 자음은 다름

- 모음은 독특한 resonant frequencies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이를 formants라고 함

- 모음은 홀로 쓰일 수 있는 반면, 자음은 홀로 사용이 불가함

- 자음은 모음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분류되기도 함

1. prevocalic: 모음 앞에 나타나는 자음

2. intervocalic: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자음

3. postvocalic: 모음 뒤에 나타나는 자음

- 반면에 모음은 자음보다 더 큰 intensity를 갖기 때문에, 음절의 가운데 또는 음절의 nucleus으로 작용하며, 음절의 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syllabic으로 구분됨 (syllabic consonants도 몇 개 있음)

 

Manner, Place, and Voicing

- 모음은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으로 정의하는 반면에, 자음은 조음적으로 정의함

- 자음의 3가지 음운적 기준

 

1. Manner of production (조음방법)

- 자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기류가 성도를 따라 지나가며 변형되어지는 방법

e.g., stops

- 폐쇄음: 조음 기관들이 기류를 완전히 막아서 입 안의 압력이 높아졌다가 팍 터짐

- 그래서 plosive (파열음)이라고도 함

- Fricatives (마찰음): 구강에서 조음 기관에 의해 만들어진 좁은 틈으로 기류가 빠져나오면서 쉬쉬거리는 hissing sound를 만듬

- stopfricative는 분리된 각각의 조음장소임

 

2.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장소)

- 어디서 만들어지며, 어디서 방해를 받는가

e.g., Bilabial: 두 입술을 사용하여 나는 소리

- Alveolar(=Lingua-alveolar): 혀가 alveolar ridge에 닿아 나는 소리

 

3. Voicing

- 성대의 진동이 있는가, 없는가

- 영어에서 여러 음소는 같은 조음장소나 같은 조음 방법을 공유하지만, voicing은 공유하지 않음

e.g., /s/, /z/ = alveolar sounds, but /s/ is voiceless, /z/ is voiced

- 이처럼 voicing 에서만 차이가 나는 것을 cognates (동족음)이라고 함

e.g., /k/ and /g/, /f/ and /v/, /p/and /b/

- 또한 이것들은 minimal pair이기도 함

e.g., bit/pit, tuck/duck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