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연속 발화에서 소리가 어떻게 나는가?

- VowelConsonant는 독립된 하나의 소리에 대한 연구(isolated items)였음

- , 한 단어가 single item으로써 조심스럽게 발음되는 것 (=citation form)

- citation formconnected speech에서는 아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 connected speech, 연속발화에서 생기는 것임

e.g., 'him' /hIm/

- I caught him' /aIkotm/ -> 'h'가 강세를 받지 않고, 탈락되어 버림.

- 이처럼 connected speech에서, 단어들의 음성적 실체가 종종 바뀌게 됨

- 일단 발화에서 함께 연결되면 phonemes는 제거되거나 완전 다른 것으로 바뀜

- connected speechstress, intonation, timing에서 연속적인 변화로 특징 지어짐

 

이 장에서는 Assimilation에 대해 알아봄

Assimilation (동화)

- Citation form (인용형) 에서 각각의 단어는 신중하게 발음됨

- , 음소들이 아주 조심스럽게, 각각의 내재된 길이를 그대로 유지한 채 발음됨

- 하지만 단어들이 일단 대화를 시작하게 되면, 그 신중함은 사라지게 됨

- 음소들이 아주 엄격하게 연속적인 순서로 말하여 지지는 않는 것임

- 한 음소의 두음이 이전 음소가 완전히 발음되기 전에 벌써 나타나 버리며, 이것은 종종 개개 음소의 중복을 만들어 냄

e.g., 'where did you go?' -> /wεrdζ∂gou/?

- 음절이나 단어 사이의 경계는 대화(casual speech)에서 그 경계가 종종 불확실해지고, 그로 인해 청자들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게 됨

- 또한, ‘모음들의 자질이 어떻게 변하는 가에 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야기 할 때, connected speech의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음소들의 생성을 중복시킬 필요가 있음

 

발화 중에 조음 기관에 일어나는 중복을 coarticulation (동시조음)이라 하며, 이는 time-efficient process (시간을 줄여주는 과정)

- 조음 기관들은 각각의 음소를 만들어 낼 시간이 전혀 없음

- Coarticulationconnected speech를 화자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함

- , 조음 기관들을 겹치게 함으로써 훨씬 변화가 쉬워짐

- 만약, 음소가 고립된 형태로 완전히 발음된다면, speech는 아주 힘들고 느린 작업이 됨

e.g., soon /sun/

- /s/rounded vowel /u/를 예견하여 입술이 /u/의 음성적 환경에 따라 미리 rounded

- 이러한 rounded version /s/는 그냥 /s/allphone

e.g., kid = kId/, could = /kud/

- high front vowel /I/ 때문에 입 훨씬 안쪽(palate)에서 발음됨

- high back /u/ 때문에 velum 에서 발음됨

 

이러한 두 개의 /k/는 그냥 /k/allophones

=> , 뒤에 무엇이 오느냐, 연쇄에 따라서 다르게 조음됨

 

- 연속적 발화의 효과는 또한 음소의 음성적 실체를 바꿈

- , 특정한 음소가 완전히 다른 음소로 바뀌거나 완전히 탈락되기도 함 (deletion, addition, assimilation....)

e.g., Was she /wz i/ -> /w∧ζ ∫i/로 발음됨

- , alveolar /z/ -> palatal /ζ/로 바뀌게 됨 (palatal // 에 의해)

- 이러한 변화는 단어 경계 내에서도, 위 예와 같은 단어 경계 넘어서도 나타남

 

음소가 이웃하는 소리들의 음성적 특성을 띠게 되는 과정을 동화 (assimilation)라고 함

- 몇 몇 음성학자들은 동화를 'coarticulation의 결과다'라고 말하기도 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전혀 다른 별개의 과정으로 보기도 함

* 별개로 보는 사람들의 주장

- Coarticulation: 이음적 변화를 야기시키는 음성적 실체가 바뀌는 것이지, 음소가 변하는 것은 아니며, 개개의 음소가 서로 중복되는 것임

- Assimilation: 완전 다른 음소를 가져오는, 조음적인 변화이며, 이음적 변이뿐만 아니라 음운적 변이도 일컫음

- 한 단어 내에서의 변화는 주로 coarticulation, 구의 변화는 assimilation.

- 동화의 방향에 따라 Regressive assimilationProgressive assimilation으로 분류됨

- 동화되는 정도에 따라서도 부분 동화인가, 완전 동화인가로 분류됨

- 그리고 동화 방법에 따라서도 조음 장소 동화, 조음 방법 동화, 성동화로 분류됨

 

1) Regressive assimilation(역행동화)

- 음소의 실체가 뒤따르는 음소 때문에 바뀌는 것

==> right-to-left assimilation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동화된다 하여) / =anticipatory assimilation (조음 기관들이 시간상 뒤에 나타나는 음소를 예측하기 때문에)

ex) Would you like to go? -> /wudζ∂laIktgou/?

- Would you -> /wudζ∂/ : 'you'/j/(palatal glide)의 환경에 의해 /d//dζ/로 바뀜

 

2) Progressive assimilation(순행동화)

- 앞서는 음소의 결과 때문에 음소의 실체가 바뀌게 되는 것

==> left-to-right(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동화된다 하여) / =perseverative assimilation(앞 음소를 지속시킨다 하여)

 

3) 음성적 환경에 의하여 야기되는 동화는 특정 음소의 place of articulation(조음 장소)의 변화임

- 대부분의 이러한 동화는 regressive

- 뒤에 나타나는 음소와 조음 장소가 비슷해지기 때문임

 

Elision (발음 생략, 음의 탈락)

- 특정한 음성적 환경 때문에 발화 중에 음소가 삭제되는 것을 말함

e.g., exactly /gzæklI/ - /t/ 탈락: 주로 같은 조음 장소의 이음들이 탈락됨

e.g., camara /kmr/ -> /kæmr/

 

이는

1) 시간이 흐르면서 언어가 발달하는 역사적 과정에 의한 결과

2) connected speech와 관련된 coarticulation의 결과로써, 특정한 음성적 환경때문에 단어 경계 넘어서도 일어남

 

Epenthesis (삽입음)

- connected speech에서 단어를 발음하는 동안에 때때로 음소가 추가되기도 함

- 이처럼 음소가 추가되는 것을 Epenthesis 하며, 이는 3가지 이유로 발생함

1) Coarticulation

- glide /j/, /w/2개의 인접한 모음 사이에 모음이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첨가됨

e.g., Leo /lijou/, Ohio/ohaIjou/

- front vowel 또는 diphthong뒤에 /j/가 삽입된되며, /j/front에서 back vowel로 혀가 미끄러져 가면서 발생하며, 이는 coarticulation(동시조음)의 결과임

e.g., going /gouwiŋ/, to each /tuwit/

- back vowel뒤에 /w/삽입됨 이 또한 동시조음의 결과

- 이와 유사한 e.g.,) tense /tεnts/, lengths/lεŋkΘs/, Amsterdam /æmpstrdæm/

==> 같은 조음 장소의 폐쇄음이 들어감

- , 실제로는 stop sound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homorganic voiceless stop이 삽입됨

- 이러한 첨가된 음소는 nasal + fricative의 음소 연쇄가 만들어질 때의 동시조음의 결임

 

2) Idiosyncratic(방언적 변이) or dialectal variation

- 개개 화자의 말하는 스타일이나 변이 때문에 생김

e.g., chance / chants, tense/ tents

- 이러한 개인들은 위 두 단어를 구분하지 못함

e.g., elm /εlm/, film /fIlm/ - 영어는 자음 연쇄가 많은데, 이 때 자음 사이에 //를 집어넣음

- 미국의 남부와 동부 화자들은 /u/앞에 /j/를 삽입함

e.g., Tuesday /tjuzdeI/, due /dju/

- 동쪽 화자들은 //로 끝나는 단어에 /r/을 삽입함

e.g., soda /sodr/, Cuba /kjubr/

 

3) Disordered speech patterns

- 음운적으로 disorders(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consonant blend 중간에 //를 집어넣음

e.g., break /breIk/, glad /glæd/

 

Metathesis (음위 전환 = 단어 내의 음이나 철자 순서가 바뀌는 것)

- connected speech에서, 두 인접음의 위치가 바뀔 수 있는데 이를 Metathesis라고 함

- 이는 speech error(=slip of the tongue), dialectal variation(방언), speech disorder(언어질환)때문에 일어남

e.g., elephant -> /eflnt/, spaghetti -> /psgεri/

==> 주로 빠른 발화에서 발생함

 

Vowel Reduction (모음 약화)

- connected speech에서, 모음의 완전한 형태, 예를 들면 /æ/mid-central vowel //로 약화되는 현상을 말함

e.g., I can go /aI kæn gou/ -> /aI kn gou/

- 단어 경계를 넘어서뿐만 아니라 독립된 단어에서도 발생함

e.g., feasible /fizibl/ -> /fizbl/

 

왜 일어나는가?

- connected speech에선 speech가 아주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조음 기관이 목표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없음

- , 도달하기도 전에 다음 소리가 발생 되고, 조음기관은 새로운 위치에 맞게 조절됨

- 그렇다고 vowel reductionbad, lazy, sloppy articulations로 간주 되는 것은 아님

- connected speech에서는 1음절 단어가 홀로 발음될 때 발음에서 변화를 받음

- 이는 단어의 강세와 관련이 있음

e.g., 'as' in 'as soon as possible' ==> /z sun z pasbl/

- 하지만 'as'가 홀로 발음될 땐 강세를 받기 때문에 strong form/æz/가 됨

- 그러나 대화에선 거의 강세를 받지 않기 때문에 /z/로 발음됨

 

728x90
728x90

The Affricate Consonants (어수선한 자음, 파찰음)

/t/, /dζ/

- stop fricative, stopfricative manners가 합쳐진 것과 같아서 이것 역시 obstruents (폐쇄성) 로 분류

- alveolar stop에서 시작함

- 개방 되어질 땐 기류가 tonugepalate에 의해 만들어진 수축에 의해 빠져나감

- 약간 멈추었다가 지속되어지는 음

- /ts/ : voiceless alveolar stop /t/ + voiceless alveolar fricative /s/

e.g., 'cats' /kæts/, 'let's go' /letsgoυ/

- 이런 식으로 두 개의 단어를 합친 것, 또는 형태소에서 일어남

- /ts/를 하나의 음소로 간주하지는 않음

- /t/allophone (이음)

 

The Approximant Consonants (근자음, 근접 자음)

 

Glides /j/, /w/ and Liquids /r/, /l/

/l/lateral이기도 함

- 자음이지만 모음성이 강함 -> voiced

- 다른 자음들과 아주 다른 조음 방법을 가짐

- 몇 몇 점에서 이들은 모음처럼 행동하고, 또 어디에선 자음처럼 행동함.

- , 방해를 받기도 하고, 받지 않기도 하고 둘 다 가능

- vocal tract에서 장애를 받지만 조음 기관들은 단지 접근만하기 때문에 접근음이라고 부름

- vocal tract에서의 수축이 저해음보다 덜함

- 음절 핵을 형성하지는 않기 때문에 모음으로 분류되진 않음 (반모음이라고 부름. 하지만 /l/syllabic consonant가 가능)

- 모음처럼 이들은 모두 voiced이기때문에 sound sourcelarynx (후두)

- 또한 closed velopharyngeal port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oral sound

- , velum은 내려가 있음 (닫혀 있음)

- 이 접근음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음

1) Frictionless continnents (마찰 없는 지속음)

*마찰 있는 지속음은 fricatives.

2) semivowels

3) oral resonants

 

-approximants는 일반적으로 두 그룹으로 나뉨: glides and liquids

1. glides : 조음기관의 미끄러지는 동작을 수반하며, 이중모음과 비슷함.

이러한 이유로 semivowels라고 일컫음

- glides가 만들어지는 동안의 duration(, 발음 되는 동안의 기간)은 이중모음 보다 더 짧고, 빠름

- 항상 모음앞에 나타남

- 조음 기관들의 지속되는 움직임에 의해서 /j/, /w/는 특징지어짐

 

1) /j/ : voiced, palatal glide

- 이름은 /jat/ 요트

- 혓날을 경구개쪽으로 올리고, 입술은 /i/발음할 때와 비슷해짐

- , /i/만드는 위치와 비슷함

- 그러고나서 조음기관들(입술과 혀)는 다음 모음 생성에 필요한 위치로 미끄러짐

- 이러한 조음 기관들의 지속적인 움직임이 glide로 특징지어지는 이유임

- 조음기관들이 /j/에서 다음 모음으로 미끄러지는 동안에 바뀌기 때문에 vocal tract의 공명성과 관련하여 변화가 일어남

-/j//i/의 유사성: 'yam' /jæm/ -> /iiiiæm/(이앰)으로 들림

2) /w/ : labiovelar glide

- 동시에 2개의 조음 장소(bllabial, velar)로 특징지어짐

- 입술은 rounded, 혀 뒤는 velum(soft palate)에 접근함

- 이 음소를 만드는 동안 미끄러지는 동작이 뒤따라는 모음까지 계속 옮아감

ex) 'week' /wik/ -> /uuuuik/로 들림 (/u/에서 /i/로 미끄러지는 듯이)

- 몇 몇 화자들은 /w/와 대비되는 것으로 voiceless /Μ/와 구별하기도 함 (주로 영국이나 스코틀랜드에서, ''로 발음됨)

ex) 'when', 'where', 'which' 등의 'hw'//, 훼어ㄹ/, /휘취/로 발음

* 미국 영어에서는 거의 구별하지 않음

 

2. liquid

- 구강공명음 /r//l/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

- 몇몇 음성학자들은 liquidssemivowel, 또는 glides로 말하기도 함

1) /r/ : voiced, palatal liquid (그러나 alveolar에 더 가까우며, 그로 인해 post alveolar 이라고도 함)

- 화자에 따라서 두 가지로 발음되며, vocal tract에서 이중 수축을 받음

(1) retroflexed articulation (반전음. 전형적인 미국식 발음)

- tonuge tip을 위로 올리고 alveolar ridge(또는 palate )쪽으로 하여 뒤로 구부림

- 이 때, tongue back2번째 velar constriction 을 만든다.

(2) bunched articulation

- tongue tip을 아래로 내리고 tongue bladehard palate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 위로 올림 (또는 bunching 시킴) 그러는 동안 tongue root2번째 pharyngeal constriction을 만듬

- voiced breath stream은 위 2가지 방법에서 다 수축을 받음

- 혀는 입천장 어디든 닿지 않고, 가까이 접근만 함

- /r/prevocalic(모음 앞에 위치)일 때, 항상 자음으로 간주 됨

- 그러나 단어나 음절 끝(postvocalic)에 있을 때에는 모음으로 간주 됨

e.g., 'her' , 'murder' => 마지막의 /r/syllabic이 됨. (음절을 가지게 된다는 말)

- 남부나 동부 미국에선 postvocalic /r/이 종종 탈락 됨 (, 영국식처럼 r발음을 하지 않는 다는 말)

e.g., 'chair' /췌어/, 'horse' /-/

2) // : voiced, alveolar liquid

- 기류가 양 옆으로 나가기 때문에 lateral(측음)이라고도 함

- syllable앞에서 나타나느냐, 아니면 뒤에서 나타나느냐에 따라서 2개의 별개의 독립적인 조음 방법을 가짐

(1) syllable-initial, 또는 prevocalic /l/ (ex. 'lip')tongue tipalveolar ridge에 닿기(근접하기) 위해 올라가고, tonuge backoral cavity에 그대로 남아 있음

- 그리고 기류는 tongue 양 쪽으로 빠져나감. 이를 light /l/이라고 함

(2) syllable-final position, 특히 back vowel (ex. 'pull') 뒤에 있는 /l/reverse가 일어남

- , tonuge tip은 낮춰지고, tongue backpalata에 다가가기 위해 올라감

- 이를 velarized 또는 dakr /l/이라고 함

- postvocalic /l/syllabic consonants. , syllabic /l/은 항상 dark /l/

 

728x90

'Signal, Speech Processing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nected Speech  (0) 2020.02.16
Nasal Consonants, Fricative Consonants  (0) 2020.02.14
The English Consonants  (0) 2020.02.14
Consonant Transcription  (0) 2020.02.14
Vowel Transcription - Four mid vowels, More on Diphthongs  (0) 2020.02.10
728x90

The Nasal Consonants (비강음, 콧소리의 자음)

- /m/, /n/, /ŋ/ => 모두 3

- stop consonants와 조음 기관이 같음

- 즉, 구강에서 기류가 완전히 방해를 받음

==> bilabial /m/, alveolar /n/, velar /ŋ/

 

stop과의 차이점

- Nasal consonants (비강자음)velum이 낮아져 기류가 nasal cavity (비강)으로 나감

- 즉, 구강 내에서 압력의 개방이 없고 코로 개방 됨

- 기류가 콧구멍으로 나가기 위해 구강을 막음

- 이러한 이유로 비강자음은 obstruent로 간주 되지 않고 공명음으로 간주 됨

-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비강자음은 모두 유성음이며,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음

- Vowels 처럼 sound sourcevocal cords의 진동임

- nasalnasal resonants (비강 공명음)

- nasal을 발음하는 동안, vocal tract 전체에서 resonance가 일어남

- 몇 몇 경우, nasal phonemes (비강 음소)syllabic (음절)이 될 수 있음

e.g., written - 모음 'i'뿐만 아니라 자음 'n'도 음절을 가지고 있음

 

1. /m/ : voiced, bilabial, nasal

- nasal은 무성음이 없기 때문에 굳이 표시할 필요가 없음

- 입술이 합쳐져 larynx에서 나오는 기류를 멈추게 함 (/b/와 수축이 비슷)

- 유성이므로 성대의 진동이 있음

- oral resonating cavity (구강 공명강 = 입 안의 울릴 수 있는 정도나 크기)3개의 비강자음중에서 가장 큼 (oral cavity - 전체와 lips부터 oropharynx<인두> 까지 모두 포함)

- 혀의 위치는 뒤에 따르는 모음에 따라 결정됨

- 음성적 환경에 따라 대화에서 syllabic이 가능함

e.g., happen

 

2. /n/ : alveolar, nasal

- /m/과 비슷, 조음 장소만 다름

- 조음 장소는 alveolar (tongue tip 또는 tongue bladealveolar에 위치) -> larynx로부터의 기류를 수축시킴

- 조음 장소가 /m/보다 뒤 쪽이므로 oral cavity가 더 작고, 이는 울림도의 차이를 만듬

- /n/이 단어 끝에 있고, 앞서는 자음이 homorganic(조음 장소가 같은 것. t, d, l)일 때, 종종 syllabic이 되기도 함

e.g., ridden, reason

- 'ridden'을 발음할 때, stop sound /d/velum이 내려가 있기 때문에 nasal cavity를 통해 개방됨

- 이러한 음을 nasal plosion (비강 파열음)이라고 함

- 앞서는 음이 homorganic이 아니더라도 syllabic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

- 왜냐하면 자음 사이의 모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같기 때문임

e.g., ribbon ('o'가 거의 발음 되지 않음), happen ('e'가 거의 발음 되지 않음)

 

3. /ŋ/ : velar, nasal

- 구강에서 기류의 수축이 가장 뒤에서, 혀의 뒷 부분과 velum앞 사이에서 일어남

- oral resonating cavity가 가장 짧음

- 영어에서 단어의 첫 부분에 절대 오지 않음

- 흥미로운 딜레마를 제공함

- 'English''finger'같은 단어에서 /ŋ/은 항상 뒤에 voiced가 따름

- 즉, /g/. 그러나 'longing'이나 'singer'같은 단어에서는 /g/의 발음이 달라짐

==>형태소 내에선 /ŋg/, morpheme morpheme 사이에서는 주로 /ŋ/로 발음됨

e.g., finger(핑거ㄹ), sing+er=singer(싱어ㄹ)

 

 

The Fricative Consonants (마찰 자음)

-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hissing sound(쉬쉬거리는 소리)가 첨가되어 있음

- 총 9. /f, v, s, z, Θ, ð, , ζ, h/

- vocal tract에서 좁은 통로로 즉, 수축을 통해 그 틈으로 기류를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지는 소리로, 조음기관들이 완전히 닫히지 않음

 

- Vocal tract에는 5개의 조음 장소가 있음

: lingualdental /Θ, ð/

: labiodental /f, v/

: alveolar /s, z/

: palatal /, ζ/

: glottal /h/

==> glottal을 제외한 나머지들은 다 cognate (동족음)이 있음

 

- 영어에는 bilabial fricatives (양순 파열음)velar fricatives (연구개 파열음)가 없음

- 그러나 SpanishEwe, West African language, Hebrew, German에는 존재 (영어에 없는 거니까 중요하지 않음)

- glottal /h/voiceless이지만,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voiced가 되기도 함

- 폐에서 나오는 기류가 좁은 통로를 통해 밀려가기 때문에 아주 소란스러운 소리를 만듬

- 그래서 obstruent (폐쇄성)으로 간주함

- Voiced fricativessecond sound source를 가짐 = vocal folds의 진동

- alveolarpalatal frictives /s, z, , ζ/는 다른 fricatives보다 더 크게 인식되기 때문에 sibilants로 분류 됨 (복수형 만들 때 /iz/가 붙음)

1. /f, v/

- labiodental fricative (순치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서로 대응되는 동족음 관계)

- 아랫 입술을 윗니 중앙자리 가까이 가져가고, 아래턱이 윗 턱 가까이 올라감.

- 기류는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의 좁은 수축을 통해서 빠져나감

 

2. /Θ, ð/

- interdental fricative (치간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 /Θ/: theta라고 부름. /ð/: eth라고 부름.

- 혀 끝 또는 혓날과 윗니 중앙의 낮은 쪽 사이에서 나타나는 수축으로 인해 만들어 짐

- 이 때 혀는 이 사이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interdental (이는 미국식)

- 두 번째로 발음하는 방법은 혀 끝을 위쪽 앞니 뒷 부분에 위치시킴 => dental sound(이는 영국식)

 

3. /s, z/

- alveolar fricative (치경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 개인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발음함

1) 혀 끝 또는 혓날과 alveolar ridge (치조 융선)를 이용하며, 혀가 ridge로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올라가지만 닿지는 않음

- 동시에 혀는 위쪽 뒤의 어금니와 접촉하면서 중앙 부분을 따라 홈을 만들게 됨

2) 혀 끝을 아래의 앞니 뒤쪽에 두지만, 반면에 혀 앞부분은 alveolar ridge에 가까이 가기 위해 올라감

- 혀는 여전히 중앙을 따라 홈을 만들고, 혀 양쪽은 위의 어금니와 접촉함

==> 두 조음 기관 모두, 혀와 이로 만들어진 통로는 윗니와 아랫니의 좁은 통로로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도록 도움

- 복수형 's'의 발음에 대한 문제: 앞 자음에 동화됨

e.g., taps /s/, tabs /z/

- 모음 사이에서는 /s//z/로 발음되기도 함

e.g., resource /rizors/, greasy /grizi/

 

4. /, ζ/

- palatal fricative, 각각 voiceless, voiced

- alveolar fricatives와 아주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수축을 통해 기류가 밀려나면서 만들어지지만 조금 더 뒤쪽에서 생성 됨

- 혀는 중앙 부분을 따라 홈을 만들고, 혀 양쪽은 위 어금니에 닿음

- alveolar fricatives (차경 마찰음)보다 더 뒤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post-alveolar (후치경음) 또는 palatoalveolar (경구개 치경음)이라고 한다.

- /s, z/와 달리 입술이 rounded

 

5. /h/

- voiceless, glottal fricative

- 기류가 abducted vocal folds(성문이 열린 상태, glottis)에 의한 수축을 통해 밀려남

- vocal folds의 진동이 없기 때문에 voiceless

- cognate (동족음)가 없는 유일한 fricative

- 어떤 음성적 환경에서는 voiced quality를 갖기도 함

e.g., ahead (여기서 'h'. 유성 /h/는 작대기가 구부러져 있음)

- 즉, 모음 사이에 있을 때, 모음이 유성이기 때문에 그 자질을 따르게 됨

- 조음 기관은 /h/뒤에 따르는 모음을 따르게 됨

 

728x90
728x90

1. The stop (=Plosive) Consonants (Obstruents 중의 하나. *Obstruents: Stops, Fricatives, Affricates)

- 음성학에서 파열 성 또는 구강 폐쇄성으로도 알려진 stop consonants는 모든 공기 흐름이 중단되도록 성대를 막는 자음임

- 혀 끝 또는 날 ([t], [d]) 혀 몸체 ([k], [ɡ]), 입술 ([p], [b]) 또는 glottis를 사용하여 폐색 할 수 있음

- / m / / n /에서와 같이 보컬이 막히지만 코를 통해 기류가 계속되는 코와, 부분 폐색이 방해를 받지만 보컬의 기류를 막지 않는 마찰음과의 대조를 막음

- 구강에서 기류가 완전히 방해를 받음

- 구강에서 폐쇄될 뿐만 아니라, velopharyngeal port(비강으로 나가는 입구)에서도 폐쇄됨

- 즉, velum이 올라가 있음

- 구강에서 3개의 조음장소(bilabial, alveolar, velar) 중 하나에서 폐쇄가 됨으로써 stop consonants가 만들어짐

- 폐쇄되는 동안, 방해받은 공기가 oral cavity를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intraoral pressure (oral cavity의 압력)이 커짐

- 수축이 개방되면 intraoral air pressure가 낮아지고, 그 압력으로 인해 소리가 터지면서 나게 됨

- 그래서 이를 plosives라고 부르기도 함

- 소리가 아주 소란스럽기 때문에, the burst of air (공기의 터짐)noise라고 함

- 영어의 모든 음소 중에서 가장 짧고, 아주 빠르게 발생함

- voicing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두 개의 sound source를 가지는데 무성음이면 sound source가 한 개이고, 유성음이면 폐쇄 개방과 진동이라는 두 개의 sound source를 가지게 됨

voiceless stops /p, t, k/, voiced stops /b, d, g/

- vocal cords의 진동은 voiced stops가 발음되는 동안 vocal tract의 공명성 변화를 야기시킴

- larynx, pharynx, oral cavity에서의 공명성 차이가 조음 장소를 구별할 수 있는 지각적 차이를 제공함

 

1. 1 /p, b/

/p/ - voiceless, bilabial stop

/b/ - voiced, bilabial stop

- 두 입술이 합쳐지게 되면서 방해를 받기 때문에 bilabila

- 턱은 거의 closed position이 됨

- velopharyngeal port (구개인두, 입천장인두) closed 되어 기류가 코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함

- voicelessintraoral 압력이 /p/가 더 크기 때문에, /p/의 터짐이 /b/보다 더 강렬함

- 혀의 위치는 뒤 따르는 모음에 의해 결정됨

 

/p/의 이음들

- strongly aspirated: 강세 받는 음절 앞에서 강하게 발음되는 것

e.g., pen, poeple, pill ...

- weakly aspirated: 강세 받지 않는 음절 앞에서 발음되는 것

e.g., spine, spill, spring (s뒤의 p''에 가깝게 발음 됨. '스빠인', '스삘', '스쁘링' )

- unreleased (비개방): 음절 끝에 오는 것

e.g., drop, sleep, help, cap, wiped ...

 

1.2 /t, d/

/t/ - voiceless, alveolar stop

/d/ - voiced, alveolar stop

- tongue tip (혀 끝) 또는 blade가 기류를 막으면서 alveolar ridge (치조 능선) 에 접촉하고, 이로 인해 혀의 양쪽은 위 어금니에 위치하게 됨

- 그래서 기류가 혀 양쪽으로도 빠져나가지 못한다. alveolar가 관여되기 때문에 alveolar stop

- /t//b/보다 intraoral (구강내) 압력이 더 크기 때문에 터짐이 더 큼

- velopharyngeal (입천장인두) portclosed되나, released 될 때도 있음

e.g., mutton, sudden , 근처에 nasal sounds가 있을 때, nasal의 자질을 가지게 되며, 이를 nasal plosion이라고 함

- /t, d/의 이음 [뒤집힌 τ] : 'tap' or 'flap'으로 불림

- intervocalic(모음 사이에 있을 때), 첫 음절이 강세를 받을 경우에 그 다음에서 나타남

e.g., better, shutter

- 또는 intervocalic /t/가 강세 받는 음절과 맞닿아 있을 때

e.g., fated, flirted

==> 양 쪽 모음의 유성 환경에 의해 부분적으로 유성이 되고, 이음은 유성음임

e.g., 'tap' or 'flap'

1) quick, stop, light

2) voiced tap

3) no puff of air (no release)

-> alveolar ridge에 아주 빠르게, 살짝 닿게 함

 

/t/의 이음이냐, /d/의 이음이냐 구별

1) stressed, unstressed를 고려함

2) 모음 길이: 모음은 무성음보다 유성음 앞에서 길이가 더 길어짐

e.g., ladder, latter : ladder'a'를 좀 더 길게 발음함

3) 문맥으로 유추하기

e.g., 'I won a medal', 'Metal chairs are comfortable.'

- ‘-ed'에 대한 발음

- '-ed'/t/로 발음날 때도 있고, /d/로 발음날 때도 있다. 이는 앞 자음의 유성이냐, 무성이냐에 따라 결정됨

e.g., crowed- /d/, taped- /t/

 

/t/의 이음들

- strongly aspirated: tool, top, attend ... (방식은 위와 동일)

- unaspirated: shake, street ...

- unreleased: boat, bat, beat, hat ...

 

1.3 /k, g/

/k/ - voiceless, velar stop

/g/ - voiced, velar stop

- tongue backvelum의 앞부분에 닿기 때문에 velar

- /k/interoral 압력이 더 크기 때문에 /g/보다 터짐이 더 큼

- /k/에 대한 많은 allographs가 있으며, 자음중에서 가장 다양한 spellings를 가지고 있음

 

/k/의 이음들

- strongly aspirated: clean ...

- unaspirated: scream ...

- unreleased: rock ...

 

1.4 /?의 머릿 부분/

- 음소로든, 이음으로든 둘 다 가능하다. , 음소로 간주하기도 하고, 이음으로 간주하기도 함

- voiceless, glottal stop

 

/t/의 이음

- vocal cords가 기류를 막고 개방시키는 조음 기관임

- 발음하는 동안 vocal cords는 진동하지 않기 때문에 voiceless

- oral cavity에서 개방되지 않고, vocal cords에서 개방됨

- 주로 뒤에 'n'이 있을 때 발음함

e.g., kitten (킽은 -키튼이 아니라 킽 응), Manhatten (맨햍 응), mountain (마운 응)

- 이는 tongue tip/t//n/을 발음할 때, 조음 기관이 같기 때문

- 이처럼 같은 조음 기관을 공유하는 음소를 homorganic이라고 함

- 모음 사이에서 발생하기도 함

e.g., Hawaii (하왓 이)

- 인접한 단어의 모음 사이에서도 발생함

e.g, Pay Amos

 

 

 

728x90
728x90

자음에 관하여,

 

 

What is a consonant?

- 4가지의 고려성 필요

1. 문자에 관해 자음을 고려

2. 조음기관에 의해 형성되는 자음을 고려

3. 음절 구조에서 특정 역할에 관한 자음을 고려

4. 음향(청각), 실질적(physical) 자질에 관한 자음을 고려

 

Vowels VS Consonants

 

- 생성에 있어서 모음과 자음은 상당히 다름

- 자음은 혀나 입술의 위치 변화에 의해서만 만들어지지 않음

- 자음은 후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vocal tract constrictions성도 수축에 의해서 형성됨

==> 여러 조음기관들이 서로 합쳐져 만들어 지는 것

- 자음은 구강이나 비강을 통과하는 기류를 바꾸기 위한 2개의 조음기관이 합쳐져 생성됨

- 혀는 자음 생성에 있어 중요한 조음기관으로 종종 자음을 만들기 위해 다른 조음기관들에 접촉하기도 하지만, 관련하지 않는 자음들도 있음 /h/, /b/, /f/

- 자음과 모음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자음과 모음이 생성되는 동안 sound source(=sound generator)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와 관련하여 알 수 있음

- 든 모음의 sound sourcevocal cords (성대)level에 있음

- 즉, 모든 모음은 성대가 떨리는 voiced (유성)(후두로부터 나오는 기류는 성대의 진동을 가지는 유성음으로, 모음임.)

- 입술과 혀 위치의 변화는 모음에 특정한 자질을 주면서 vocal tract (성도)의 공명성을 바꿈 (, 모음은 공명성을 가지고 있음)

- 물론, 자음도 마찬가지로 vocal tract (성도) 전체에서 공명으로 만들어지는 공명성을 가진 자음이 있음.

- 이를 resonants consonants (resonants = 공명)라고 하며, nasals, liquids, glides가 그러한 것들이며, 이것들은 모두 유성임

 

- 그러나 몇몇 자음들의 sound source는 후두가 아님

= 구강의 수축되는 지점에서 만들어지는 noisesound source

- 기류가 supralaryngeal system (상후두체계)로 가면서 자음이 만들어지는 것임

- 이를 nonresonant consonants 또는 obstruents (기류가 조음과정 동안 막힘)이라고 하며, 이들은 순수자음으로 공명성(울림)이 없음

e.g., stop, fricative, affricates consonants

 

- obstruents (장애음)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resonance (공명)vocal tract 전체에서 일어나지 않음

- /s, f, t, k/같은 voiceless obstruent sounds (무성장애음)sound source는 오직 vocal tract의 수축임

- /z, v, d, g/같은 voiced obstruent sounds유성장애음의 sound sourcevocal tract의 수축과, vocal cords성대의 진동 2개임

- 모음과 자음은 음향적으로도 확연히 다르며, 모음은 일반적으로 자음보다 duration (발음지속길이)가 길고 모음은 개개 음절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함

- 모음과 자음 음소의 실제 길이는 다음과 관련하여 다양함

1. 음소가 강세받는 음절에 있는가

2. phonemic context

3. 음소를 포함하고 있는 발화에서 단어의 의미의 중요성

 

- intensity강도와 관련하여서는 모음이 자음보다 더 큼

- 즉, 자음과 비교하였을 때, vocal tract의 공명도와 관련하여 음향 에너지가 모음이 더 크기 때문에 자음보다 더 크게 인지 됨

 

- frequency specifacation (주파수 특성)에 관하여서도 모음과 자음은 다름

- 모음은 독특한 resonant frequencies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이를 formants라고 함

- 모음은 홀로 쓰일 수 있는 반면, 자음은 홀로 사용이 불가함

- 자음은 모음의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분류되기도 함

1. prevocalic: 모음 앞에 나타나는 자음

2. intervocalic: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자음

3. postvocalic: 모음 뒤에 나타나는 자음

- 반면에 모음은 자음보다 더 큰 intensity를 갖기 때문에, 음절의 가운데 또는 음절의 nucleus으로 작용하며, 음절의 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syllabic으로 구분됨 (syllabic consonants도 몇 개 있음)

 

Manner, Place, and Voicing

- 모음은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으로 정의하는 반면에, 자음은 조음적으로 정의함

- 자음의 3가지 음운적 기준

 

1. Manner of production (조음방법)

- 자음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기류가 성도를 따라 지나가며 변형되어지는 방법

e.g., stops

- 폐쇄음: 조음 기관들이 기류를 완전히 막아서 입 안의 압력이 높아졌다가 팍 터짐

- 그래서 plosive (파열음)이라고도 함

- Fricatives (마찰음): 구강에서 조음 기관에 의해 만들어진 좁은 틈으로 기류가 빠져나오면서 쉬쉬거리는 hissing sound를 만듬

- stopfricative는 분리된 각각의 조음장소임

 

2. Place of articulation (조음 장소)

- 어디서 만들어지며, 어디서 방해를 받는가

e.g., Bilabial: 두 입술을 사용하여 나는 소리

- Alveolar(=Lingua-alveolar): 혀가 alveolar ridge에 닿아 나는 소리

 

3. Voicing

- 성대의 진동이 있는가, 없는가

- 영어에서 여러 음소는 같은 조음장소나 같은 조음 방법을 공유하지만, voicing은 공유하지 않음

e.g., /s/, /z/ = alveolar sounds, but /s/ is voiceless, /z/ is voiced

- 이처럼 voicing 에서만 차이가 나는 것을 cognates (동족음)이라고 함

e.g., /k/ and /g/, /f/ and /v/, /p/and /b/

- 또한 이것들은 minimal pair이기도 함

e.g., bit/pit, tuck/duck

 

728x90
728x90

1. <뒤집어진 e>

- 'schwa(슈와)'라고 불림 - mid, central, unrounded, lax ('')

- 혀 가장 가운데 부분(central portion)에서 발음됨

- 성도에서도 가장 중간 위치(most neutral)에서 발음됨

- //allophone

- 하지만 phoneticiansclinicians는 각각의 vowel phonemes로 구별하기도 함

- 슈와는 강세를 받지 않는 것, //는 강세를 받는 것으로. 이 점에서 보면 앞에서 보았던 /o/, /ou//e/, /eI/와 비슷함

- 입이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unrounded

 

2. <>

- 'carat' 또는 'wedge'로 불림

- low-med, back-cetral, unrounded, lax (''와 비슷)

- 슈와가 강세 받았을 때 나는 소리

- monosyllabic (단음절), stressed syllables (강세 받는 음절)에서 사용됨

- 슈와보다 더 뒤, 아래쪽에서 발음 됨

- one-syllable words 1음절 단어에서 나타나지만, 보통 open syllables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3. <뒤집어지고 꼬리달린 e>

- mid, central, rounded, lax

- 오직 non-stressed syllables (강세 받지 않는 음절)에서만 발생함

- 'schwar' (슈와르) 라고 불림

- 슈와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꼬리만 붙어서 슈와르

- r-colored vowel 이며, 꼬리가 /r/소리를 나타냄

- height, advancement, lip rounding, tense/lax로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려움

 

4. <꼬리달린 3>

- 'stressed schwar‘ (강세받는 슈와르) 라고 불림

- mid, central, rounded, tense 가 포함됨

- 슈와르의 파트너이자 대칭됨

- 슈와르와 비슷하여 rounded이지만 unrounded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음

- central vowel 중에서 유일하게 tense

- 음절 끝에서 주로 나타남

e.g., 'her, stir, fur'... 어떤 이는 'sure'도 이걸로 발음하기도 함

- rhotic diphthongs/ir/ or /εr/과 혼동되기도 함

 

 

- 지금까지 보았던 이중모음으로는 /eI//ou(뒤집어진Ω)/가 있었음

- 여기에 /aI/, /au(뒤집어진Ω)/, /뒤집어진c/, 3가지가 더 있음

- 정확한 시작점과 끝 지점은 화자마다 다르나, 공통점으로는 혀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움직인다는 것임

1. /aI/

- low central 또는 low back /a/에서 시작하여 high front position/I/로 미끄러져 감

- 첫 번째 음소 /a/는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단모음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Diphthongs (이중 모음)으로 나타남

- 동부, 남부 화자는 단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함

e.g., 'might' /mat/, 'ice' /as/

 

2. /au/

- low back position/a/에서 시작하여 high back position/u/로 미끄러져 감

- onglide (삽입 경과음)에서는 unrounded이고, offglide (경과음)에서는 rounded

 

3. /뒤집어진cI/

- low-mid back position에서 시작하여 high front position/I/로 미끄러져 감

- /뒤집어진c/를 발음할 때 입술은 rounded이지만, offglide portion으로 가면서 unrounded

- 동부와 남주에서는 단모음으로 발음하기도 함

e.g., 'oil' /뒤집어진cl/, 'soil' /s뒤집어진cl/

 

728x90

'Signal, Speech Processing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English Consonants  (0) 2020.02.14
Consonant Transcription  (0) 2020.02.14
Vowel Transcription - Five back vowels  (0) 2020.02.10
Vowel Transcription - Five front vowels  (0) 2020.02.10
Anatomy of the Speech Mechanism  (0) 2020.02.10
728x90

5개의 뒷 모음

back vowelsfront vowels와 대칭됨

1. <u> : high, back, rounded, tense ('')

- front vowel /i/와 대칭

- rounded (대부분의 back vowelsrounded.)

- tense = 혓몸은 높이 올라가고 혓뿌리는 다소 advanced(앞쪽으로 나가게 됨)

==> 인두강이 커짐 (/a/를 발음할 때에는 혓뿌리가 뒤로 후퇴하기 때문에 인두강이 좁아짐)

 

- 특이한 점

==> /u/는 실제로 자음 /j/('제이'가 아니라 'y'발음을 나타내는 기호. 반모음이라고도 함) 앞에 나타나게 됨

e.g., 'you' /ju/, 'few' /fju/, 'music' /mjuzIk/

-> 몇몇 음성학에서는 이것/ju/를 이중 모음으로 간주하기도 함

 

2. <뒤집어진 Ω> : high, back, rounded, lax (''와 소리가 유사)

- 구강에서 혀가 /u/보다 아주 약간 낮음, 그래서 high

- /u/처럼 rounded이지만 lax. , open syllables에서는 나타나지 않음

- r-colored vowel: /ur/ ex.'tour' /tur/, 'lure' /lur/ (여기서 /u/는 다 뒤집어진 Ω. 기호가 없어서 /u/로 나타냄)

- 몇몇 사람은 /tor/, /lor/로 발음하기도 함 (*여기서 /o/는 뒤집어진 c. 기호가 없어서 /o/)

- 'oo'/l/앞에 있을 때, /뒤집어진Ω/ 또는 /u/ 둘 다 발음 가능함

e.g., 'pool', 'cool', 'fool' (, 길게 빼든 짧게 하든 다 괜찮다는 의미)

 

- 동부 쪽 화자는 'room'/rum/, 'broom'/brum/으로 발음하기도 함

==> 여기서도 /u//뒤집어진 Ω/. , 원래는 '루움', '브루움' 길게 발음해야 하는데 짧게 한다는 의미

 

3. </o/, /ou (뒤집어진 Ω.)/> : high-mid, back, rounded, tense

- /e/, /eI/와 대칭되며, 이중모음임

- /o/는 강세 받지 않을 때, 강세를 받거나 단어의 끝에 올 때에는 /ou/로 발음됨

e.g., beLOW(강세받음), BELLow(끝음절)

- /o/를 발음할 때, 혀는 high-middle position

- 이중모음 /ou/onglide /o/위치인 mid-back portion에서 시작하여 점점 위로 올라가 offglide /u/로 감

 

4. <뒤집어진 c> : low-mid, back, rounded, tense (''와 소리가 유사)

- 'open o'라고 언급되기도 함

- /o/보다는 약간 낮은 위치에서 발음 됨

- 미국 영어의 모든 화자가 발음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인식하기 어려움

- 상당히 지역적인 방언으로, 일반적으로 동부와 남부쪽에서 사용됨

- Midwest, Western America, NewEngland에서 더 다양함을 보이는데, 몇몇은 사용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고, 대신 /a/로 발음함

- r-colored vowel: /뒤집어진 cr/. ex. 'corn', 'bored', 'foreign', 'sure'/뒤집어진cr/로 발음하기도 함

 

5. <a> : low, back, unrounded, tense ('')

- back이지만 유일하게 unrounded

- 완전 low, back으로 point vowel중의 하나임

- 지역적 차이 때문에 /뒤집어진c/대신 쓰는 사람들도 있음(바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e.g., 'saw', 'haul', 'cought', 'awl'

- r-colored vowel: /ar/. ex. 'bark' /bark/, 'art' /art/

- South, East에서는 'florist'/flarist/, 'horried'/harId/로 발음하기도 함

- Eastern U.S.에서는 'dance'/dans/, 'pass'/pas/라고 발음하기도 함

 

728x90
728x90

5개의 앞 모음

 

What is a vowel?

- 자음과 모음은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

- 모음은 vocal tract (성도)에서 인지할 수 있는 수축 없이, 즉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기류가 나오면서 만들어지는 소리임

- 이러한 모음은 혀 위치와 변화, 입술 모양의 변화로 분류 가능

- 영어에서 모음은 5개지만, 발음되는 것으로는 더 많이 존재하며, 14개 정도임

- 모음을 분류하기 위해 고안해 낸 것이 Cardinal Vowel Chart (모음 사각도) (비슷한 말로, Quadrilateral: 혀 위치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

- 먼저 Reference point (참고점), Idealized point를 잡아서 ==> /i/, /ae/, /u/, /alpha/

- 여기에 소리를 몇 가지 더 추가시켜서 Idealized Chart (이상적 도표)를 만든 것임

- 그러나 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언어에 따라서, 언어학자에 따라서 다양한 의견이 있음

- 모음 생성에 있어서, 혀가 주 조음기관으로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

- 혀가 어느 위치에 있느냐, 이게 바로 포인트

- 혀는 모음을 만들 시, 근육적인 접촉점을 갖고 있으며, 인두 모양(크기)에 따라 바뀜

- 모음에 대하여 다시 정리하면, 혀나 조음기관에 의해 아무 장애없이 구강을 통해 빠져 나가는 소리임

- 만약 혀가 수축되거나 장애를 받는다면 이는 자음임

모음이 만들어지는 동안, 혓몸의 위치와 관련하여 모음은 분류됨

1) Tongue height

- 특정 음을 만들 때, 혀가 구강에서 얼마나 높은가, 얼마나 낮은가 high, mid, low 로 나뉨

 

2) Tongue advancement

입 안에서 혀가 얼마나 앞쪽을 향하는가, 뒤쪽을 향하는가 front, central, back로 나뉨

 

3) Rounded

입술을 둥글게 만드는 것

 

4) Retracted(=unrounded)

- 입술이 옆으로 찢어지는 것, 입술이 둥글게 되지 않는 것

- 영어에서 혀 뒤쪽(back)에서 만들어지는 모음 대부분은 rounded

- 혀의 앞쪽(front)에서 만들어지는 모음 대부분은 unrounded

- 독일이나 프랑스어에는 rounded이면서 frontvowels가 있음

 

5) Tense

- 혀의 긴장도에 따라 나뉘는데, 주로 길게 발음되는 것은 tense

- Lax: 주로 짧게 발음 되는 것은 lax

- tenselax를 구별하기 위한 가자ᅟᅥᆼ 좋은 방법은 영어 음절이 발음되는 사이에 분포되는 방법을 관찰하는 것

- tense는 강세 받는 open syllables, 모음으로 끝나는 건 항상 tense

e.g., ‘he’ = /hi/, ‘too’ = /tu/

 

- tenseclosed 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

e.g., ‘feet’ = /fit/, ‘goose’ = /gus/

 

- 즉 tenseopen, closed 모두에서 가능함

- 그러나 lax는 오직 closed에서만 나타남

e.g., ‘had’ = /haed/ (강세받지 않는 open syllabels에서 나타나기도 함)

 

- 영어에서 모든 모음은 특별한 조음 위치를 갖고 있음

e.g., height, advancement, lip rounding, tense&lax

 

Vocal tract (성도)에서, 구강 구조 (특히 혀와 인두) 때문에 공명도가 바뀌는데, 이는 각각의 별개 모음에 독특한 음향적 특성과 질을 가져다 주며, 또한 청자에게 음향적 단서를 제공

대부분의 영어 모음은 monophthongs (one sound = 단 모음)이지만, 2개의 별개의 모음이 독특한 조음적 위치를 갖는 diphthongs (two sound = 이중 모음)도 있음

- 이중 모음을 만들어내는 동안 혀는 첫 번째 모음을 만들어 내기에 적절한 위치에 놓이게 됨

- 그러고 나서 미끄러지듯이 2번째 모음의 위치로 옮겨 감

- 이 이중 모음의 첫 번째를 onglide portion (여는 위치)라고 하고, 두 번째를 offglide portion (닫는 위치)라고 함

 

- 영어의 모든 offglide는 오직 2개 뿐임

- 미국 영어의 이중 모음은 5개임

- 영어에서 모음은 다 oral sound

- 즉 velum (연구개)이 올라감

 

- 그러나 몇몇은 음운적 환경으로 인해 nasal sound가 되기도 함

- 즉, velum이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발음됨

e.g., ‘mean’ = /min/ (nasal을 나타낼 때에는 모음 위에 ~를 붙임)

mnnasal이기 때문에 velum이 그대로 낮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발음됨

- 즉, 비음 사이에 있는 모음은 비음으로 발음됨

 

 

The English vowels

- Tongue height (혀 높이), Tongue advancement (혀의 발달), Lip rounding (발음을 위해 입술을 동그랗게 함), tense/lax (혀의 긴장도/이완) 로 정리하여 구분할 수 있어야 함

 

1. <i> : high, front, unrounded, tense

- 구강에서 혓몸을 앞 위쪽으로 올려, 발음되는 동안 경구개 가까이 혀가 올라감

- Cardinal Vowel Chart에서 point이기 때문에 point vowel이라고도 함

- 즉, 기본 모음에서 기준점 역할을 하고 있음

- 입술은 unrounded

- 1음절로도 끝날 수 있기 때문에 tense로 간주 됨

- mandible (아래턱)은 혀가 위로 감에 따라 같이 올라가고, 다소 closed position (open syllables는 다 closed로 볼 수 있음)

- 발음하는 동안에 혀의 bodyroot가 앞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음향학적으로 oropharynx (구인두강)은 커짐. (참고로 æ는 구인두강이 작아짐)

 

2. <I> : high, front, unrounded, lax

- /i/보다는 혀가 약간 더 내려가고, 이 때 턱은 거의 닫힘 => closed position

- 입술은 unrounded

- open syllable에서는 나타날 수 없으며, closed syllable에서만 나타 남

- phonetic transcription에서 몇 가지 특이한 점을 가지고 있음

==> 강세 받지 않는 위치에서 'y'의 발음이 tense인지 lax인지에 관한 논란이 있음

e.g., crazy, gloomy, partly...

==> 마지막 'y'가 듣기에는 tense로 들리기 때문임

 

- 그러나 실제로 /i/보다는 발음 길이가 짧음

==> 'ing'를 연쇄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에서, 예를 들면 'running, finger, thing..'에서 'key'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의 '/i/'처럼 들리지만 '/i/'의 자질을 가지고 있지는 않음

- 즉, '/i/'처럼 front, high가 아님

 

- 이러한 이유는 'ing'에서 /I/nasal sound/ŋ/때문에 velum이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 발음되기 때문임

- 이중모음처럼 들리는 것과 관련하여 /I/는 종종 /r/앞에서 발견 됨

e.g., 'hear' /hIr/, 'ear' /Ir/... 이 때의 /I/는 뒤따르는 /r/의 자질을 부분적으로 취하게 되며, 이를 r-colored vowel(r음색을 포함한 모음)이라고 하며, rhotic diphthong(r음질을 가진 이중모음)으로 분류 됨

 

- /Ir/또는 /I(꼬리달린)/로 표기 함

- 지역에 따라 /I/를 발음하는 데 차이가 있음

==> 남부 미국 - /Ir//i/로 발음함

e.g., 'here' /hir/(원래는 /hIr/) or 'ear' /ir/(원래는 /Ir/)

 

- 위와 반대로 /i//I/로 발음하기도 함

e.g., 'really' /rIlI/(원래는 /rili/), 'meal' /mIl/(원래는 /mil/)

==> 아프리카계 미국인 방언 영어와 남부 미국인들의 방언에선, 'many, pen, cents''I'로 발음하기도 함

e.g., 'many' /mInI/, 'pen' /pIn/, 'cents' /sInts/

 

3. <e, eI> : high-mid, front, unrounded, tense

- 입의 정확한 중간 위치 보다도 약간 더 높게 혀가 유지된 채 만들어짐 = high-mid vowel

- 강세받는 /e/는 실제 diphthong, /eI/로 발음이 되며 혼자인 /e/는 강세 받지 않음

- /e//eI/는 같은 음소이면서 다르게 실현됨 = allophones

- 모음의 이중적인 형태는 단모음/e/보다 길이가 더 김 => onglide /e/ + offglide /I/

- /eI/를 발음할 때, 혀와 성도는 처음은 /e/를 발음할 때의 위치와 같으나 점점 high, front position으로 미끄러져 /I/가 됨

- /eI/는 주로 stressed, 단어 끝에 위치 /e/unstressed

- 남부 미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 /eI/로 발음하기도 함

e.g., 'fresh' /freI/, 'mesh' /meI/, 'leg' /leIg/, 'egg' /eIg/

 

4. <ε> 그리스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epsilon (엡실론)이라고 부름: low-mid, front, unrounded, lax

- 입 속의 중간과 낮은 위치 사이에 혀의 body가 위치하게 됨

- lax이기 때문에 엡실론으로 끝나는 단어는 없음

- r-colored vowel중의 하나임

- 미국의 북동쪽과 남동쪽에선 /εr//er/로 발음하기도 함

e.g., 'hair' /her/, 'fair' /fer/

 

- Great Lakes지역에서는, 'pillow'/pεlou(뒤집어진Ω)/, ' milk'/mεlk/로 발음하기도 함

 

5. <æ> ash라고 부름 : low, front, unrounded, lax

- 5개의 front vowels중에서 혀의 위치가 가장 낮음

- four point vowels 중의 하나임

- 아래턱과 혀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함

- 혀의 body가 앞쪽에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oropharynx구강인두의 크기가 작음

-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주로 nasal /ŋ/ 앞에 온다는 것

e.g., 'rank' /ræŋk/, 'bang' /bæŋ/

- 미국 동부와 북부에서는, 'marry'/mærI/, 'Harry'/hærI/, 'carry' /kærI/로 발음하기도 함

 

 

728x90
728x90

소리 구조 (소리를 만드는 방법의 해부학적 구조)

 

Speech Organs: 발성 기관은 무엇인가?

- tongue (), teeth (치아), lips (입술), alveolar ridge (치경), hard and soft palates (경구개와 연구개), lungs (), larynx (후두), vocal tract (성도), pharynx (인두)

 

- 언어를 만드는 것에 있어서 여러 기능을 수행함

 

Three major biological systems: 세 개의 주요한 생물적 시스템

- respiratory (호흡), laryngeal (후두), supralaryngeal (상후두)

 

The Laryngeal System and Phonation (후두 체계와 발성)

- Laryngeal System: larynx or voice box (둘 다 후두를 나타냄) 로 구성되어 있음

- larynx (후두)는 근육과 cartilages (연골)로 구성되어 있음

- 그 아래에는 trachea (기관)windpipe (호흡기관)이 있고, 그 위로는 hyoid bone (설골) 이 있음

- 후두 안에는 vocal cords (or vocal folds = 성대)가 있는데, 성대는 탄력있는 조직이 주름 잡힌 것으로, 주로 근육으로 이루어진 얇은 막임

 

- 성대 앞에는 thyroid cartilage (갑상 연골)이 있으며, 뒤에는 2개의 arytenoid cartilages (피열 연골)이 있는데, 이 피열 연골과 11로 연결되어 있음

- 기류가 후두에 들어오면 아래로부터 성대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압력은 vocal chink (성문) 사이의 틈으로 적용이 되는데, 이 압력을 subglottal pressure (성문 아래 압력) 이라고 함

 

- 성대의 탄력성에 의해 기류가 올라오면서 진동이 발생하며, 성대들이 밀려 떨어지게 되면 기류는 성문을 통해 나오게 되는데, 이 때 좁아진 막이 떨려서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Bernoulli effect (베르누이 효과) 라고 함

- 베르누이 방정식: 르는 유체에 대하여 유선(streamline) 상에서 모든 형태의 에너지의 합은 언제나 일정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음

- vocal cords (성대)의 진동을 phonation (발성)이라고 함

 

 

소리 분류 방법

- 성대의 떨림은 떨리냐, 떨리지 않느냐에 중요한 역할을 함

- 숨 쉬는 동안에는 성대가 떨어져 있으므로 기류가 폐에서부터 성문을 통해 나와 비강 (콧구멍), 구강 (입구멍)으로 나가게 하는데 이처럼 떨어진 상태를 abduction (외전상태)라고 하며, 이 때 나는 소리를 voiceless (무성음)이라 함

 

- voiced (유성음)은 이와 반대로 성대가 거의 붙어 있으며, 이 때의 상태를 adduction (내전) 이라고 함

- 즉, 공기가 나올 때 성대가 열려 있으면 voiceless, abduction이고 공기가 나올 때 성대가 거의 닫혀 있어서 성대가 떨리면서 공기가 나오게 되면 voiced, adduction

 

- 보통 성인 남성은 초당 약 125번 정도 열리고 닫히며, 여자는 약 215번 정도 열리고 닫힘

- 이는 성대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임 (남자의 성대가 더 큼)

- 구강의 크기가 소리의 울림을 결정하는데, 이 크기도 각각 다 다르기 때문에 소리가 각각의 특성을 가지는 것임

- 이러한 성대의 기본 진동율을 음향 음성학에서는 fundamental frequency (기본 주파수)라고 부름

- Fundamental frequency는 일정하지 않고, 어떤 소리를 만들어 내는가에 따라서 끊임 없이 변함

 

 

Pitch

- 소리의 pitch (고저)는 후드 크기에 많이 의존하는데, 후다가 작으면 고음이 되고, 후두가 크면 저음이 됨

- Pitchhappy, sad, excited, bored, angry와 같은 분위기의 정보를 제공함

- 후두는 목소리의 pitch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다른 중요한 기능도 함

- 예컨대 식사를 하는 동안, 후두의 다른 기관인 epiglottis (후두개)는 음식이 기관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줌

- 또한 후두는 힘 쓰는 활동이나 호흡, 발성에 관하여 흉곽에서의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도 함

 

The supralaryngeal System and Articulation (상후두적 시스템과 조음)

- 이는 자음 분류에 유용함

- Supralaryngeal system

- pharynx (or throat: 인두), oral cavity (인두 지나서 입술까지 = 입구멍), nasal cavity (콧구멍), articulators (조음 기관들로 구성) ==> 이러한 구조를 vocal tract (성도) 라고 함

- larynx (후두)에서 입술까지의 길이, vocal tract의 길이는 보통 성인 남자는 17센치, 성인 여자는 14-15센치임

- pharynx, nasl, oral 3개의 cavity (구멍) 들이 있음

- 폐에서 나오는 기류가 oral cavitynasal cavity로 가면서, 공기의 진동은 언어의 개별적 음소를 만들어내기 위한 발성 기관에 의해 바뀌는데, 이러한 과정을 articulation (조음) 이라고 함

- 조음은 음소를 만들기 위한 발성기관들이 서로 합쳐져야만 소리가 남

 

Consonant (자음)Vowel (모음)의 구별

- 기류가 성도를 지나면서 방해를 받는가, 받지 않는가로 구별

- Consonant: 기류가 나오면서 방해를 받음

- Vowel: 기류가 나오면서 방해를 받지 않음

- 성도의 중요한 articulators (조음 기관들)oral cavity에 있으며, 이 기관들이 직접적으로 소리에 관여함

 

Articulator (조음 기관)

 

The lips

- lower lip: active, upper lips: passive

==> , 아래턱이 움직이며 윗턱은 움직이지 않음

- 양 입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소리를 bilabial sounds (양순음) 이라고 함

e.g., pear, bear, meet, witch (입술이 동그랗게 됨)

 

The teeth

- 두 가지가 있음

- Labiodental (순치음): lips and teeth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소리

e.g., fat, vet

- Dental (or interdental = 치간음): 치아와 혀를 사용함

e.g., think(유성), that(무성)

 

The alveoar ridge (치경음)

- 혀가 치경(치아 바로 뒤 잇몸)에 닿아 나는 소리

e.g., t, d, l, n, s, z (트드르느스즈)

 

The palate (=hard palate = 경구개)

- 치경 바로 뒤에 있는 딱ᄄᆞᆨ한 잇몸 위치임

- 종종 입천장이라고도 불리며, 혀가 경구개 쪽으로 가까이 가서 나는 소리

e.g., sh y 발음

 

The velum (=soft palate = 연구개)

- 경구개 뒤의 부드러운 잇몸 부위

- 혀가 연구개 가까이 가서 나는 소리

e.g., k, g, ng() 발음

 

Uvula

- velum (연구개) 뒤에 달려 있는 목젖 부위

- 영어에서는 쓰이지 않으나 프랑스어의 ‘r’발음 (‘사잇 소리)

- 연구개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가능하여 폐, 후두로부터 나오는 기류의 방향을 잡아주는 스위치 역할을 함

- 연구개가 올라가면 (인두 뒤의 벽과 접촉함, 이를 velopharyangeal closure = 연구개 인두 폐쇄) 코로 가는 기류가 막히게 되어 oral sounds (구음)가 만들어 짐

- 반대로 연구개가 내려가면 주로 코로 기류가 빠져 나가게 되어 nasal sounds (m,n,ng)가 만들어 짐

- 즉, 비음이냐 아니냐를 구분짓는 것이 바로 연구개

 

Glottis (성문)

- glottal sound (성문음)을 만들어 낸다.

- /h/ 하나 밖에 없음

 

The tongue

- 혀가 사용되어 lingual sound (설음)을 만듬

- 혀는 발화에 있어 주요한 조음 기관

- 혀의 세 가지 landmark: tip (apex = 혀끝), blad (혓 날), body (frontback 부분으로 구성)

- 혀 전체 부분을 dorsum 이라고 하지만, 주로 후설 (the back of the tongue)을 일컬음

 

The vocal tract and resonance (성도와 공명성)

Resonance (공명성)

- 소리의 울림으로, 개인의 성도 모양은 다 다르기 때문에 (조음 기관의 크기라든지 공간 등이 다 다름) 음소는 독특한, 고유의 음색 (소리 자질)을 가지고 있음

- 이 공명성은 진동체 (vibrating body)의 진동 특성과 관련이 있음

- 병에 물을 넣고 그 주둥이를 칠 때, 소리가 물의 양과 병의 크기에 따라 다 다르듯이, 공간이 크면 울림이 느려져서 낮은 소리가 나오고, 공간이 작으면 울림이 빨라져 높은 소리가 남

- 즉, 기류가 나올 때, 공간의 크기에 의해 공명성이 바뀜

- 턱이나 혀처럼 일정한 형태가 있는 것은 변하지 않음

 

Perceive speech

- 공명성의 변화는 소리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데, 이러한 차이들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Perceive speech 라고 함

- 공명성의 지각적 특성은 quality 또는 timbre라고 함

- 즉, sound quality를 나타내는 단어나 음색을 말함

 

728x90

'Signal, Speech Processing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wel Transcription - Five back vowels  (0) 2020.02.10
Vowel Transcription - Five front vowels  (0) 2020.02.10
Phonemes, Syllables notation methods  (0) 2020.02.10
Research on Phonetics  (0) 2020.02.10
Phonetics  (0) 2020.02.10
728x90

Systematic versus Impressionistic Transcription

- 음소를 표기하는 방식에는 2가지가 있음

 

Broad transcription (=Phonemic transcription, 광표기(음성 전사), 간략 발음 기호)

- 대표적인 음만 표기, 이음의 다양성은 표기하지 않음

 

Systematic narrow transcription (=Allophonic transcription, 협표기)

- 다양한 Allophone (이음)을 세세하게, 모두 표기하며 []로 표시함

이음의 다양함을 표기하는 것을 diacritics 라고 함

- Systematic phonemicSystematic narrow transcription은 소리 분석에 앞서 언어의 sound system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 그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을 경우, Impressionistic transcription (이는 narrow transcription의 또 다른 형태) 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Syllables (음절)

- 개개의 소리보다 더 큰 단위

, Allophone 혹은 phoneme 보다 더 큰 단위, 하나의 덩어리

- 일상 대화에서 어디서 음절이 시작하고 어디서 끝나는지 정의내리기는 어려우며, 또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정의가 가능하기에 실제로 음절은 무엇인가에 대해 대답하기가 어려움

e.g., city: cit + y or ci + ty ???? ==> 알 수 없음

- 단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음절들을 가지고 있음

 

음절의 2가지 요소

1. Onset 두음 (모음을 앞서는) 첫 자음

2. Rhyme

- nucleas ()

- vowel 모음

- coda (말음): 마지막, 또는 모음 뒤의 잉여 자음

e.g., split, tried, fast, eat, I ... --> s, t, f = onset, onset이 없어도 가능

- 음절의 핵은 반드시 vowel (모음)이지만, syllabic consonans 음절을 가진 자음들도 존재하기에 핵자리를 차지할 수 있음

e.g., chasm, button, ... --> n, m, l 세 가지

e.g., split, tried, fast, ... --> t, d, t = coda

- coda가 없는 경우도 있음. (me, shoe, ...)

 

coda의 유/무에 따라서 두 가지로 또 나뉨

- open syllables: coda가 없음

e.g., the, I, a, ...

- closed syllables: coda가 있음

e.g., had, keg, contain, ...

 

Phonotactic rules (음소 배열 제약)

- 음절은 여러 가지의 consonants (자음)vowels (모음) 의 조합으로 구성이 되나, 규칙 없이 아무렇게나 막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연쇄만이 허용됨

- 이처럼 순서를 지배하는 특별 규칙을 Phonotactic rules (음소 배열 제약) 이라고 함

e.g., ‘ng’ --> 단어 끝에서만 가능. 단어의 시작에 올 수 없음

e.g., sing, running --> O, ngsi, ngrunni --> X

- systematic gap: 의미도 없고, 소리 배열도 불가능 한 것

e.g., gsipdre

- accidental gap: 의미는 없으나 소리 배열은 가능한 것

e.g., vard, florbate, spliverant, ...

 

Word Stress (단어 강세) (or lexical stress 어휘 강세)

- 한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에서 가장 큰 힘을 받는 음절

- 이처럼 근육의 힘을 더 많이 받는 음절은 그렇지 않은 음절보다 구별되게 함

- 이것을 Word Accent라고 함

- 강세 받는 음절의 특징

longer in duration, higher in pitch, louder (발음되는 소리의 길이가 더 길고, 더 높은 음을 갖으며, 더 크게 소리를 냄)

- 영어에는, 하나의 음절 이상의 단어는 항상 주 강세 (primary stress)를 받는 특정한 음절이 있음

e.g., SISter, courAgeous

- 주 강세가 없는 단어는 2강세 (secondary stress)를 받거나 no stress

- 그러나 항상 예외는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규칙을 정하기 어려움

- 강세는 음운적 역할도 함. , 강세를 보고 품사를 파악할 수 있음

e.g., contract: ‘o’에 강세 --> 명사, constract: ‘a’에 강세 --> 동사

- 강세 표시 하는 법 두 가지

강세 받는 모음 위에 `을 찍음

강세 받는 모음 바로 앞에 있는 자음 앞 위쪽에 |를 찍음 (e.g., con|tain)

 

728x90

'Signal, Speech Processing > Pho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wel Transcription - Five back vowels  (0) 2020.02.10
Vowel Transcription - Five front vowels  (0) 2020.02.10
Anatomy of the Speech Mechanism  (0) 2020.02.10
Research on Phonetics  (0) 2020.02.10
Phonetics  (0) 2020.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