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 Nasal Consonants (비강음, 콧소리의 자음)

- /m/, /n/, /ŋ/ => 모두 3

- stop consonants와 조음 기관이 같음

- 즉, 구강에서 기류가 완전히 방해를 받음

==> bilabial /m/, alveolar /n/, velar /ŋ/

 

stop과의 차이점

- Nasal consonants (비강자음)velum이 낮아져 기류가 nasal cavity (비강)으로 나감

- 즉, 구강 내에서 압력의 개방이 없고 코로 개방 됨

- 기류가 콧구멍으로 나가기 위해 구강을 막음

- 이러한 이유로 비강자음은 obstruent로 간주 되지 않고 공명음으로 간주 됨

-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비강자음은 모두 유성음이며,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음

- Vowels 처럼 sound sourcevocal cords의 진동임

- nasalnasal resonants (비강 공명음)

- nasal을 발음하는 동안, vocal tract 전체에서 resonance가 일어남

- 몇 몇 경우, nasal phonemes (비강 음소)syllabic (음절)이 될 수 있음

e.g., written - 모음 'i'뿐만 아니라 자음 'n'도 음절을 가지고 있음

 

1. /m/ : voiced, bilabial, nasal

- nasal은 무성음이 없기 때문에 굳이 표시할 필요가 없음

- 입술이 합쳐져 larynx에서 나오는 기류를 멈추게 함 (/b/와 수축이 비슷)

- 유성이므로 성대의 진동이 있음

- oral resonating cavity (구강 공명강 = 입 안의 울릴 수 있는 정도나 크기)3개의 비강자음중에서 가장 큼 (oral cavity - 전체와 lips부터 oropharynx<인두> 까지 모두 포함)

- 혀의 위치는 뒤에 따르는 모음에 따라 결정됨

- 음성적 환경에 따라 대화에서 syllabic이 가능함

e.g., happen

 

2. /n/ : alveolar, nasal

- /m/과 비슷, 조음 장소만 다름

- 조음 장소는 alveolar (tongue tip 또는 tongue bladealveolar에 위치) -> larynx로부터의 기류를 수축시킴

- 조음 장소가 /m/보다 뒤 쪽이므로 oral cavity가 더 작고, 이는 울림도의 차이를 만듬

- /n/이 단어 끝에 있고, 앞서는 자음이 homorganic(조음 장소가 같은 것. t, d, l)일 때, 종종 syllabic이 되기도 함

e.g., ridden, reason

- 'ridden'을 발음할 때, stop sound /d/velum이 내려가 있기 때문에 nasal cavity를 통해 개방됨

- 이러한 음을 nasal plosion (비강 파열음)이라고 함

- 앞서는 음이 homorganic이 아니더라도 syllabic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

- 왜냐하면 자음 사이의 모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같기 때문임

e.g., ribbon ('o'가 거의 발음 되지 않음), happen ('e'가 거의 발음 되지 않음)

 

3. /ŋ/ : velar, nasal

- 구강에서 기류의 수축이 가장 뒤에서, 혀의 뒷 부분과 velum앞 사이에서 일어남

- oral resonating cavity가 가장 짧음

- 영어에서 단어의 첫 부분에 절대 오지 않음

- 흥미로운 딜레마를 제공함

- 'English''finger'같은 단어에서 /ŋ/은 항상 뒤에 voiced가 따름

- 즉, /g/. 그러나 'longing'이나 'singer'같은 단어에서는 /g/의 발음이 달라짐

==>형태소 내에선 /ŋg/, morpheme morpheme 사이에서는 주로 /ŋ/로 발음됨

e.g., finger(핑거ㄹ), sing+er=singer(싱어ㄹ)

 

 

The Fricative Consonants (마찰 자음)

-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hissing sound(쉬쉬거리는 소리)가 첨가되어 있음

- 총 9. /f, v, s, z, Θ, ð, , ζ, h/

- vocal tract에서 좁은 통로로 즉, 수축을 통해 그 틈으로 기류를 밀어냄으로써 만들어지는 소리로, 조음기관들이 완전히 닫히지 않음

 

- Vocal tract에는 5개의 조음 장소가 있음

: lingualdental /Θ, ð/

: labiodental /f, v/

: alveolar /s, z/

: palatal /, ζ/

: glottal /h/

==> glottal을 제외한 나머지들은 다 cognate (동족음)이 있음

 

- 영어에는 bilabial fricatives (양순 파열음)velar fricatives (연구개 파열음)가 없음

- 그러나 SpanishEwe, West African language, Hebrew, German에는 존재 (영어에 없는 거니까 중요하지 않음)

- glottal /h/voiceless이지만,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voiced가 되기도 함

- 폐에서 나오는 기류가 좁은 통로를 통해 밀려가기 때문에 아주 소란스러운 소리를 만듬

- 그래서 obstruent (폐쇄성)으로 간주함

- Voiced fricativessecond sound source를 가짐 = vocal folds의 진동

- alveolarpalatal frictives /s, z, , ζ/는 다른 fricatives보다 더 크게 인식되기 때문에 sibilants로 분류 됨 (복수형 만들 때 /iz/가 붙음)

1. /f, v/

- labiodental fricative (순치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서로 대응되는 동족음 관계)

- 아랫 입술을 윗니 중앙자리 가까이 가져가고, 아래턱이 윗 턱 가까이 올라감.

- 기류는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의 좁은 수축을 통해서 빠져나감

 

2. /Θ, ð/

- interdental fricative (치간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 /Θ/: theta라고 부름. /ð/: eth라고 부름.

- 혀 끝 또는 혓날과 윗니 중앙의 낮은 쪽 사이에서 나타나는 수축으로 인해 만들어 짐

- 이 때 혀는 이 사이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interdental (이는 미국식)

- 두 번째로 발음하는 방법은 혀 끝을 위쪽 앞니 뒷 부분에 위치시킴 => dental sound(이는 영국식)

 

3. /s, z/

- alveolar fricative (치경 마찰음), 각각 voiceless, voiced

- 개인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발음함

1) 혀 끝 또는 혓날과 alveolar ridge (치조 융선)를 이용하며, 혀가 ridge로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올라가지만 닿지는 않음

- 동시에 혀는 위쪽 뒤의 어금니와 접촉하면서 중앙 부분을 따라 홈을 만들게 됨

2) 혀 끝을 아래의 앞니 뒤쪽에 두지만, 반면에 혀 앞부분은 alveolar ridge에 가까이 가기 위해 올라감

- 혀는 여전히 중앙을 따라 홈을 만들고, 혀 양쪽은 위의 어금니와 접촉함

==> 두 조음 기관 모두, 혀와 이로 만들어진 통로는 윗니와 아랫니의 좁은 통로로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도록 도움

- 복수형 's'의 발음에 대한 문제: 앞 자음에 동화됨

e.g., taps /s/, tabs /z/

- 모음 사이에서는 /s//z/로 발음되기도 함

e.g., resource /rizors/, greasy /grizi/

 

4. /, ζ/

- palatal fricative, 각각 voiceless, voiced

- alveolar fricatives와 아주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수축을 통해 기류가 밀려나면서 만들어지지만 조금 더 뒤쪽에서 생성 됨

- 혀는 중앙 부분을 따라 홈을 만들고, 혀 양쪽은 위 어금니에 닿음

- alveolar fricatives (차경 마찰음)보다 더 뒤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post-alveolar (후치경음) 또는 palatoalveolar (경구개 치경음)이라고 한다.

- /s, z/와 달리 입술이 rounded

 

5. /h/

- voiceless, glottal fricative

- 기류가 abducted vocal folds(성문이 열린 상태, glottis)에 의한 수축을 통해 밀려남

- vocal folds의 진동이 없기 때문에 voiceless

- cognate (동족음)가 없는 유일한 fricative

- 어떤 음성적 환경에서는 voiced quality를 갖기도 함

e.g., ahead (여기서 'h'. 유성 /h/는 작대기가 구부러져 있음)

- 즉, 모음 사이에 있을 때, 모음이 유성이기 때문에 그 자질을 따르게 됨

- 조음 기관은 /h/뒤에 따르는 모음을 따르게 됨

 

728x90

+ Recent posts